-
1,450원대 환율, 미국 주식 진입 시점일까? 환전 타이밍 전략 공개주식으로 돈벌기 2025. 4. 22. 23:32반응형
1,450원대 환율, 지금 미국 주식 사도 될까? 까이의 환전 타이밍 전략
2025년 4월 현재, 원-달러 환율은 1,450원 근처에서 움직이고 있다. 환율이 이렇게 높으면, 당연히 드는 생각이 있다. "지금 미국 주식 사도 되는 걸까?" 까이도 요즘 똑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 환전 타이밍이 애매하고, 달러가 너무 비싼 것 같아 망설여지는 시점이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까이는 지금도 미국 주식을 사고 있다. 다만 전략은 다르다. 오늘은 까이가 실제로 쓰고 있는 환전 타이밍 전략과 투자 방법을 정리해보려 한다.
환율이 높을 때, 왜 망설이게 될까?
심리적으로 '지금 사면 꼭 떨어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반대로 떨어질 때는 '더 떨어질까 봐' 또 망설이게 된다. 그래서 까이는 시장을 예측하려 하지 않고, 전략적으로 분할해서 환전한다.
까이의 환전 타이밍 전략
- 기준 환율 설정하기 환율이 1,400원 이상일 때는 과거 기준으로 봐도 고점 구간이다. 까이는 이 구간을 적극적으로 환전할 타이밍으로 보진 않는다. 하지만, 매수를 전혀 안 하는 것도 아니다.
- 분할 환전 + 분할 투자 까이는 매월 정해진 금액(예: 300~400만 원)을 기준으로, 그중 일부만 환전해서 미국 주식을 산다. 나머지는 원화로 보유하면서 환율이 낮아질 때를 기다린다. 환율이 1,420원대, 1,400원대 초반으로 떨어지면 그때 추가로 환전 물량을 늘린다.
- 환전 정보 상시보기 핸드폰 앱에서 환전 정보가 잘 보이도록 세팅하고, 환율 변화를 수시로 확인한다. 까이는 목표선을 1,420원으로 설정해두고, 알림이 오면 그때 환전 여부를 판단한다.
환전 후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이유
까이가 환전을 감수하면서까지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장기적으로는 환차익보다 자산 가격 상승이 더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SCHD 같은 고배당 ETF나 QQQM 같은 성장 ETF는 환율보다 더 큰 움직임을 보여준다.
또한, 까이는 ISA, 연금저축, IRP를 최대한 활용해 절세 효과를 보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주식이 급락한 시점에는 원화로 ISA 계좌를 통해 매수하고, 평소에는 달러 직구로 배당 ETF를 모아간다.
그래서 까이는 지금 어떻게 하고 있을까?
- 매달 환율이 높아도 일부 환전 후 매수는 진행
- 환율이 내려올 때 더 적극적으로 추가 매수
- 미국 주식 급락 시에는 ISA, 연금계좌에서 원화로 대응
- 장기적으로는 환율보다 자산 상승률에 더 베팅
환율 1,450원, 지금 미국 주식 사도 될까?
까이의 결론은 이렇다. 시장을 예측하기보다는, 전략을 만들고 지키는 게 중요하다. 매달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미국 자산을 담고 있다면, 단기 환율보다 훨씬 큰 수익이 누적될 수 있다. 환율이 높은 지금, 까이는 주저하지 않는다. 전략을 세워놓았기 때문이다. 변화하는 시장을 내가 이길 순 없으니 전략을 따르고, 전략은 반기마다 수정한다. 요 내용은 나중에 글로 적어보겠다.
반응형'주식으로 돈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계좌 2025년 한도 변경 총정리 - 까이의 미국 주식 활용법 (1) 2025.04.26 연금저축 vs IRP 정리 | 직장인 노후 준비, 이 글 하나면 끝 (1) 2025.04.12 금리 인하 수혜주는 장기채권! ZROZ, TLT, TIP, LTPZ 완전 정리 (2) 2025.04.07 금값 미쳤다...? 배당까지 주는 금 ETF 등장! GLD부터 커버드콜까지 총정리 (2) 2025.03.31 [월배당 ETF 추천] SGOV - 미국 국채로 월급처럼 배당받는 법 (2) 2025.03.30